다양한 문화·상권이 이웃에 “상생의 눈으로 관리·지원을”
인도 뉴델리 출신의 아제싱 비투(41). 1996년 20대에 근로자로 한국에 온 그에게 국제통화기금(IMF) 외환위기는 혹독했다. 코리안 드림은커녕 경기도의 공장을 전전하며 겨우 버텼다. 그러다 2004년 사업비자를 받아 진로를 바꿨다. 8년간 조금씩 모은 돈으로 포천시 소흘읍 송우리에 조그만 식료품 가게를 냈다. 인근 가구·의류 공장에 외국인 근로자들이 급증하자 찬거리 장사를 시작한 것이다. 30㎡ 남짓한 가게는 세 배로 커졌다. 그는 “베트남·태국인 등 동남아인이 찾는 15개국 식료품을 팔고 있다”며 “시골이던 송우리가 외국인용 가게가 10곳이 넘는 '글로벌 빌리지'가 됐다”고 말했다.
우리나라에 사는 외국인 주민 수가 126만5000명(지난해 말)을 넘어섰다. 3개월 이상 살며 외국인등록을 통해 주민이 된 사람 기준(불법 체류자 제외)이다. 2009년 100만 명을 돌파한 외국인은 2년 만에 26만 명이 늘어났다. 행정안전부가 처음 조사한 2006년(53만 명)의 2.3배 수준이다. 지난해 말 주민등록 인구(5073만 명)의 2.5%다.
충북 청원군 미원면 용곡2리에는 외국인 반장도 등장했다. 일본인 이소무라 가요코(48·여)씨는 한국인과 결혼해 살고 있다. 그는 “3년간 반장을 맡아 완전히 한국 사람이 됐다” 고 말했다. 중국동포 출신 이장·반장은 전국에 10명 정도다.
이방인들이 늘면서 곳곳에 외국인 마을과 거리가 조성되고 있다. 9일 행안부에 따르면 300명 이상 외국인이 사는 외국인 빌리지 수는 전국에 103곳이 있다. 정북현 한국다문화가족지원연대 사무총장은 “기존에는 외국인들이 단순히 우리 사회에 끼여 살았다면 이제는 집단촌을 만들고 더불어 사는 공동체를 형성하는 단계로 발전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코리안 드림을 꿈꾸는 근로자부터 국제결혼·유학·비즈니스 등 이유도, 인종도 다양하다. 외국인 마을은 공단 주변, 집값, 외국인 시설, 대학 주변 등에 따라 특징이 다양하다. 조선소가 있는 경남 거제시 옥포동에는 노르웨이 클럽과 덴마크 레스토랑이 들어서 유럽특구 같다. 마을에 따라서는 슬럼화와 인종 갈등 문제도 있다. 최희순 경기개발연구원 연구위원은 “외국인 126만 명 시대는 한국의 위상이 높아진 것을 의미한다”며 “외국인 마을을 상생과 관광 자원화의 눈으로 관리·지원해야 한다”고 말했다.
|